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4

기준금리 시장금리 어떤 관계가 있고 어떤 영향을 줄까! 요즘 많은 사람들이 주식을 하면서 힘들어하고 있다.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인상에 대한 이슈로 인해서 주식시장도 좋지 못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의 파월의 입이 어떻게 움직이냐에 따라 주식시장도 출렁이고 있다. 그렇다면 기준금리는 무엇이고 시중금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자. 기준금리란 무엇인가? - 기준금리 : 시중 금리의 기준이 되는 금리. 각 국가의 최고 상위에 있는 중앙은행이 금융시장, 경제상황, 물가동향 등을 고려해서 결정하게 된다. 쉬운 설명 : 기준금리는 일반은행이 중앙은행에서 돈을 빌릴 때 사용되는 거래 금리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한국의 경우 1년에 8번, 통화정책의 방향을 결정하고 금융통화위원회가 매달 회의를 통해 결정하게 된다. 기준금리가 시장금리.. 2022. 3. 29.
애그플레이션 원인 간단하게 끝내기! 애그플레이션(agflation)이란? agriculture + inflation로 농업을 뜻하는 agriculture와 가격 상승을 뜻하는 inflation을 합성한 단어이다. 즉, 곡물(밀,옥수수,대두,보리 등)가격 상승으로 물가 상승을 말하는 것. 곡물가격 상승 원인은 지구 온난화 등 기상 이변으로 공급 감소가 컸었다 근데 최근 이 애그플레이션이 더 많이 언급되는 이유는 작년 중국의 석탄규제에 따른 암모니아 부족 -> 요소 부족 -> 비료 부족이 시작이었던 것 같다. 비료의 원료는 석탄과 천연가스인데 석탄 공급 감소로 비료가격 상승 ->곡물 가격 상승 -> 사료가격 상승 -> 육류등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는 우려를 하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수출에 대한 공급 우려가 더 커졌기 떄문이.. 2022. 3. 23.
Credit Impulse 지수란 무엇일까? 간단하게 중국 신용 자극 지수로, 민간 부문의 신규 신용이 GDP(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지수화 한 것이다. 현재 금융권에서 중요하게 쓰이는 지수로 경제적 선행지표이다. Credit Impulse 지수가 증가할 때 민간의 소비가 증가하고 경제활동이 살아나는 모습을 보이고, Credit Impulse 지수가 떨어지면 그 반대의 경우가 나타난다고 한다. Credit Impulse 지수는 작년 중국 정부의 지준율, 금리 인하에 따라 21년 10월 저점 이후 22년 1월까지 지속 반등 중이다. 중국 정부의 경기부양은 Credit Impulse 지수 및 중국 IT 수요 증감률의 상승에 긍정적 일 것이라고 한다. 이러한 영향이 한국 반도체 주가에 좋은 영향을 주게 될지 지.. 2022. 3. 21.
버핏지수란 무엇인가? 간단하고 쉽게 알아보자! 버핏지수란 무엇인가? 버크셔 해서웨이 워런 버핏이 높게 평가했다는 지표이다. 시가총액을 GDP(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로 나누는 것으로 버핏 지수가 100%라는 건 GDP와 시가총액이 같다는 뜻. 즉, GDP는 경제를 시가총액은 주식시장을 의미하므로 한 나라의 경제와 주식시장의 크기가 같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버핏 지수가 70~80%는 저평가, 100%가 넘으면 고평가로 판단한다. 미국은 거의 150% 수준이고 우리나라는 작년에 100%을 넘겼다. (코로나19 전에는 60~80% 수준이었음) 현재 미국의 금리인상과 양적긴축,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주가 하락 중이고, 공급 병목현상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시가총액과 GDP의 변화를 눈여겨 봐야겠다. 유상증.. 2022. 3. 9.
반응형